이슈브리프
-
초록
오늘날 드론은 전장에서 전략적 핵심 전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저비용에 대량 생산이 가능한 무인항공기는 제한된 자원으로도 비대칭 전력을 확보하고 현대전을 수행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북한은 드론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국 군사 교리에 신속히 통합하는 한편, 자폭형·정찰형 드론 개발과 AI 기반 기술 도입을 통해 전술적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러시아의 기술 지원과 생산 노하우를 적극 활용하여 게란·가르피야 계열 드론 생산 능력과 관련 기술을 이전받고, 생산 인프라를 확충함으로써 독자 개발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 이러한 북러 협력은 한반도와 동북아 안보 환경에 다층적 영향을 미친다. 첫째, 북한은 비대칭 전력 증강과 방공망 압박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둘째, 북러 군사협력 확대는 지역 군사 균형을 흔들고, 한국·미국의 방공·미사일 체계 재검토와 안보 협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다. 셋째, 드론 기술·생산 역량 확보는 북한 군수산업 활성화와 외화 수입 확대를 가능하게 해, 경제적 자립과 군사력 강화를 악순환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북한은 드론을 단순 공격용 무기뿐 아니라 정찰, 전자전, 심리전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할 가능성이 크며, 이는 기존 억지 구조를 약화시키고 위기관리 비용을 높이는 새로운 안보 도전으로 작용할 수 있다.
-
이전글[731호] 2025 일본 TICAD 아프리카 전략 변화와 시사점 2025-09-09
-
다음글[733호] 중국 전승절과 시진핑 지도력 : 평가와 함의 2025-09-10